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양육비 지급기간 산정표 기준표 먼저 확인하세요

by 리뷰닷컴 2025. 7. 9.

양육비 지급기간과 산정기준 총정리 (2025년 최신 기준표 포함)

양육비란 무엇인가요?

양육비란, 부모 중 비양육자가 자녀를 위해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혼 또는 사실혼 해소 후 한쪽이 자녀를 양육하게 되면, 다른 한쪽은 자녀의 생활·교육·건강에 필요한 비용을 분담해야 합니다.

 

법원 판결 또는 양육비이행관리원의 조정·합의를 통해 금액과 지급 방식이 정해지며, 매달 일정액을 계좌이체 방식으로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양육비 지급기간은 언제까지?

양육비 지급기간은 일반적으로 자녀가 만 19세에 도달할 때까지로 설정됩니다.

이는 민법상 성년 기준에 따르며, 고등학교 졸업 이후에도 일정 기간 유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기본 기준: 자녀가 만 19세까지
  • 🎓 대학 진학 시: 만 22세까지 연장 가능 (합의 또는 판결 필요)
  • 🩺 자녀가 중증 장애 또는 질병이 있는 경우: 성인 이후에도 지급 결정 가능

즉, 양육비 지급 종료일은 고정이 아니라 사안별로 달라질 수 있으며, 합의서 또는 재판기록에 명시된 종료 조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양육비 산정 기준표 

양육비는 아이 수, 부모의 소득, 자녀의 연령에 따라 산정됩니다.

2025년 기준 대한가정법률상담소 기준 양육비 산정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월평균 가정 총소득 0~2세 3~5세 6~10세 11~14세 15~18세
250만 원 50만 원 53만 원 56만 원 59만 원 61만 원
400만 원 63만 원 66만 원 70만 원 74만 원 78만 원
600만 원 75만 원 78만 원 82만 원 87만 원 92만 원

 

 

 

이 표는 참고 기준이며, 실제 법원에서는 부모 각각의 소득, 재산, 양육 시간 비율 등을 반영해 개별 산정합니다.

 

 

양육비 금액 산정 예시

다음은 양육비 산정의 예시입니다.

  • 👨 아버지 월 소득: 400만 원
  • 👩 어머니 월 소득: 200만 원
  • 👧 자녀 나이: 만 5세
  • 👩‍👧 아이와 함께 사는 쪽: 어머니

양육비 산정표상 월 66만 원 → 아버지가 2/3 부담 → 실제 지급금은 약 44만 원/월 (재판 또는 합의로 다르게 조정될 수 있음)

 

 

 

 

양육비 미지급 시 대응 방법

양육비가 정기적으로 지급되지 않는다면, 아래 절차를 통해 법적 대응이 가능합니다.

 

  1. 📞 양육비이행관리원에 상담 신청
  2. 📋 지급명령 신청 → 판결 → 강제집행 가능
  3. 🚫 운전면허 정지, 출국금지, 신상공개 요청 가능
  4. 💰 양육비 선지급제 신청 → 국가가 먼저 지급

 

 

양육비이행관리원

 

www.childsupport.or.kr

 

💡 아이가 성인이 되기 전까지 반드시 정기적인 양육비 지급이 이뤄지도록 법적 수단을 적극 활용하세요.

 


 

양육비는 자녀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최소한의 권리입니다.

지급기간, 금액 산정, 지급 방식 등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불이익 없이 자녀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양육비 선지급제 신청방법 조건 알고가기

 

양육비 선지급제 신청방법 조건 알고가기

양육비 선지급제란? 신청방법, 조건, 한부모 가족 지원 총정리양육비 선지급제란 무엇인가요?도입 배경 및 제도 목적양육비 선지급제 신청 조건양육비 선지급제 신청 방법한부모 가족과 양육비

hbjb.tistory.com

👇양육비 이행관리원이란?

 

양육비 이행관리원이란?

양육비이행관리원이란? 역할, 신청방법, 한부모 가족 필수 정보 정리양육비이행관리원이란?양육비이행관리원의 주요 업무양육비 이행 신청 자격 및 조건신청 방법 및 절차양육비 미지급 시 대

hbjb.tistory.com

 

댓글